오늘의 점수는 지난 밤 측정된 수면을 점수로 보여줘요. 점수를 통해 내가 잠을 잘 잤는지 한 눈에 알 수 있어요.
웰룬은 다음과 같이 점수를 판단해요.
90점 ~ 100점 = 매우좋음
76점 ~ 89점 = 좋음
60점 ~ 75점 = 보통
46 ~ 59점 = 나쁨
0점 ~ 45점 = 매우나쁨
오늘의 수면 상식도 알려드려요.
좋은 수면을 위한 쉽고 간단한 수면 상식을 알려드려요. 만약 오늘의 수면이 좋음이라면 1%의 수면왕 뱃지를 드려요!
오늘의 점수를 누르면 상세 분석을 볼 수 있어요.
오늘의 점수를 구성하는 11가지 수면 요소에요.
수면 시간
수면 시작 ~ 종료까지의 시간으로 판단해요.
•
수면 시작: 15분 동안 일정한 호흡이 감지되고, 움직임이 없어요.
•
수면 종료: 침대에서 벗어나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사용자의 호흡/움직임 신호가 15분 이상 사라진 상태에요.
수면 효율
침대에 누워있는 시간과 총 수면 시간을 측정한 후, 다음 계산식으로 수면 효율을 구해요.
수면 효율은 높을수록 좋아요.
수면까지 걸린 시간
침대에 누운 시점부터 잠 든 시점까지를 기준으로 판단해요. 적정 시간 0~25분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빨리 잠들었는지, 늦게 잠들었는지 알려줘요.
REM 수면 비율
전체 수면에서 REM 수면이 차지하는 비율은 대체로 20~25%로, 이를 기준으로 REM 수면 비율이 높고 낮음을 알려줘요.
각성 시간
수면 중 15분 이상 수면으로 판단되지 않는 호흡 패턴이 발견되면 각성으로 판단해요. 각성 횟수가 적어도 각성 시간이 길면 수면의 질에 영향을 줘요.
각성 횟수
각성 시간과 마찬가지로 수면 중 15분 동안 수면으로 판단되지 않는 호흡 패턴이 발견되면 각성으로 판단해요. 웰룬은 각성이 인지될 때, 인지되지 않을 때를 모두 측정해요.
무호흡-저호흡 지수
무호흡은 호흡 중단이 10초 이상 지속되는 경우이고, 저호흡은 호흡량이 기존보다 감소하는 경우에요. 무호흡-저호흡 지수는 두 증상이 일어난 횟수를 합친 수치에요.
폐쇄성 무호흡 지수
수면 중 발생한 폐쇄성 무호흡 횟수를 총 수면 시간으로 나누면 폐쇄성 무호흡 지수가 돼요. 만약 폐쇄성 무호흡 지수가 3이라면 수면 시간 동안 한 시간에 평균 3번 폐쇄성 무호흡이 나타났다는 뜻이에요.
중추성 무호흡 지수
중추성 무호흡 지수는 중추성 무호흡이 한 시간에 몇 번 일어났는지 알려주는 지표에요. 폐쇄성 무호흡 지수와 마찬가지로 수면 중 발생한 중추성 무호흡 횟수를 총 수면 시간으로 나누면 중추성 무호흡 지수가 돼요.
저호흡 지수
저호흡 지수는 저호흡이 한 시간에 몇 번 일어났는지 알려주는 지표에요. 저호흡은 평소 호흡량의 50%이상 감소를 보이며 혈중산소포화도가 3%이상 감소를 동반해요.
호흡 노력 각성 지수
호흡 노력 각성은 호흡하기 위해 각성이 일어나는 증상이에요. 호흡 노력 각성 지수는 이 증상이 한 시간에 몇 번 일어났는지 알려줘요. 일반 각성과는 따로 횟수가 계산돼요.
*참고* 수면다원검사의 지표별 판정 기준
웰룬의 수면 요소는 수면다원검사 지표를 참고해서 만들어졌어요. 각 항목의 병원 판정 기준은 아래 [수면다원검사 기준표]를 참고해주세요.
[수면다원검사 기준표]
순번 | 수면 지표 | 병원 판정 기준 (정의) |
1 | 총 수면 시간 (Total Sleep Time) | 실제 수면을 취한 시간 |
2 | 수면 효율 (Sleep Efficiency) | (총 수면시간/침대에 누워있는 시간)×100 |
3 | 수면까지 걸린 시간 (Sleep Latency) | [소등]에서 수면으로 판독되는 첫 신호까지의 시간 |
4 | REM 수면의 비율 (REM Rate) | 빠른 안구 움직임이 발견되는 시간의 비율 |
5 | 각성 시간 (Wake After Sleep Onset) | 총 기록시간 중 깨어있는 시간에서 수면 잠복기를 제외한 시간 |
6 | 각성 횟수 (The number of Wake) | 비REM 수면에서의 각성은 10초 이상의 안정된 수면이 선행됨을 전제로 적어도 3초 이상의 갑작스러운 뇌파변화가 있는 경우 판정
REM 수면에서의 각성은 위와 같은 뇌파변화와 함께 1초 이상의 근전도 증가가 동반된 경우 판정 |
7 | 무호흡-저호흡 지수 (Apnea-Hypopnea Index) | 무호흡과 저호흡 횟수×60/총 수면시간 |
8 | 폐쇄성 무호흡 지수 (Apnea Obstructive) | 호흡 노력이 발생하면서 수면 중 10초 이상 시간 동안 평소 호흡기류의 90% 이상의 감소를 보이는 경우 |
9 | 중추성 무호흡 지수 (Apnea Central) | 수면 중 10초 이상 평소 호흡기류의 90% 이상의 감소를 보이는 경우 |
10 | 저호흡 지수 (Hypopnea) | 수면 중 10초 이상 시간 동안 평소 호흡기류의 50% 이상의 감소를 보이며 혈중산소포화도가 3% 이상 감소를 동반하거나 각성을 동반하는 경우 |
11 | 호흡 노력 각성 지수 (Respiration Effort Related Arousal) | 10초 이상의 시간 동안 무호흡이나 저호흡의 기준에는 달하지 못하나 호흡노력에 의해서 각성이 일어나는 경우 |